스마트그리드란?
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(IT)를 접목하여, 전력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정보를 교환함으로써, 에너지의 효율을 최적화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을 말한다.
-
전력망 (Power Grid)
공급자 중심 일방향성
폐쇄형 전력 플랫폼Supplier-centered One way Closed Electricity Platform
-
정보통신 (ICT)
실시간 정보교환
Real Time Information Exchange
-
스마트그리드 (Smart Grid)
수요자 중심 양방향성
개방형 비지니스 플랫폼Consumer-centered Two Way Open Business Platform
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에너지 절약 Mechanism.
구성요소
Advanced Smart Meter, 전기차 충전 이프라, 분산형 전원(배터리), 실시간 전기요금제, 전력망의 자기치유(Self-Healing)기능, 신재생에너지 생산·판매기능, DV전원공급체계, 전력품질선택 등
스마트그리드 도시 조감도
추진배경
에너지 효율향상
스마트그리드가 구축되면 전력수요의 분산 및 제어가 가능해져 에너지 이용 향상 가능
스마트그리드의 필요성
· 에너지 자원의 효율적 이용
· 전력 예비율 확보와 전력망의 신뢰성 확보
· 친환경 전원 (신재생, 분산형 전원)의 보급 확대 기반 마련
· 무정전, 고품질 전력서비스 제공
스마트그리드의 장·단점
장점
· 전기료 부담이 낮아짐
· 에너지 효율이 높아짐
·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 마련
단점
· 인터넷과 연결되는 만큼 보안의 문제성
스마트그리드의 기대효과
가정 및 산업
· 전기사용량 절약, 전기품질 저하비용 감소
전력산업
· 신규발전투자 절감, 송배전 손실감소, 에너지절약 컨설팅 등 비즈니스 창출
신규산업
· 전기자동차 보급인프라 구축, 스마트그리드 설비투자효과 (12 ~ 13년, 20조원)